반응형 색(color)13 먼셀의 10색상환 색은 말로 표현하는 방식이 사람들마다 다르기 때문에 모호한 부분이 있는데,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객관적인 기준이 만들어졌는데 바로 색체계에요. 색체계의 발달로 색을 기호화하여 정확하게 정보로 저장할 수 있으며 필요에 의해 재생, 활용하는 것이 쉬워졌어요. 대표적인 색체계로는 한국, 일본, 미국 등에서 표준 체계로서 채택하고 있는 먼셀(Mumsell) 표색계, 유럽에서 표준 체계였던 오스트발트(OStwald) 표색계, 최근 스웨덴을 중심으로 세계적으로 보급되고 있는 NCS(Natural Color System) 표색계, 그리고 빛의 색을 판별하고 체계화한 CIE 표준 표색계가 있어요. 먼셀 표색계는 독일의 물리학자 헬름홀츠(Hermann von Helmholtz)의 지각 이론에 근거한 것으로 색의.. 2022. 12. 10. 색채배색 색을 사용할 때 단색보다는 다른 색과 함께 어울린 배색으로 사용합니다. 그러므로 배색의 원리와 효과를 잘 이해하고 알맞게 활용하여 조화로운 색채표현을 하는데 필요해요. 배색원리와 효과를 여러가지 차원으로 설명하기 보다는 기본적인 몇가지 기준으로 배색의 원리와 효과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중점을 두었어요. 배색원리에 따라 동일색상 - 다양한 색상중에 한가지 계열의 색상이예요. 한가지 색상을 사용할 때의 장점은 통일성을 가질 수 있어요. 예를 들면 노랑을 사용하면 진한 노랑, 흐린 노랑 등등으로 사용 할 수 있어요. 유사색상 - 색상환에서 좌우의 비슷한 색끼리 한 배색입니다. 파랑과 남색, 주황과 노랑 등 색끼리 적당한 유사선과 변화가 있어서 밸런스를 잡기 쉽고 통일감이 있습니다. 2022. 12. 10. 색채배색 색을 사용할 때 단색보다는 다른 색과 함께 어울린 배색으로 사용합니다. 그러므로 배색의 원리와 효과를 잘 이해하고 알맞게 활용하여 조화로운 색채표현을 하는데 필요해요. 배색원리와 효과를 여러가지 차원으로 설명하기 보다는 기본적인 몇가지 기준으로 배색의 원리와 효과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중점을 두었어요. 배색원리에 따라 동일색상 - 다양한 색상중에 한가지 계열의 색상이예요. 한가지 색상을 사용할 때의 장점은 통일성을 가질 수 있어요. 예를 들면 노랑을 사용하면 진한 노랑, 흐린 노랑 등등으로 사용 할 수 있어요. 2022. 12. 9. 색을 정하는 것은 무엇 일까요? 인간의 시각은 정보의 80%가량을 받아들이는 감각중의 하나입니다.물체의 색과 모양 그리고 밝기를 파악합니다. 이 중 색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으면 또한 어떻게 구분 할까요? 먼저 색은 빛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색은 다양한 파장의 에너지로 이루어져 있고 그 에너지가 우리의 동공을 지나 신경 신호로 변화 되어 최종적으로는 뇌에서 처리되지요. 빛은 바깥 세상에 존재하지만 색이란 그것을 인식하는 우리의 뇌 속에서만 있답니다. 다음으로 우리의 눈 안에는 특별한 수용체가 들어 있는데 이를 원추세포라고 불러요. 적색원추세포(red cone), 녹색원추세포(green cone), 청색원추세포(blue cone)의 세 가지 종류가 있어요. 원추세포는 받아들이는 빛의 파장이 다르죠. 전체적으로 400~700㎚(나노미터) .. 2022. 12. 8. 이전 1 2 3 4 다음